연인과의 관계에서 원치 않는 임신을 방지하고 계획적인 미래를 위해 여성분들에게 꼭 필요한 것 중 하나가 피임약입니다. 피임약의 정확한 이해로 피임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오늘은 피임약의 원리, 피임약의 종류와 부작용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임약의 원리는?
1. 경구 피임약
남성의 콘돔 사용으로 피임을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여성에게 부작용도 덜하겠지만 생리일 조정, 월경통 개선, 월경 과다, 여드름, 다모증 등 다양한 이유로 피임약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경구 피임약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경구 피임약은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 등 합성 여성호르몬 성분이 함유되어있으며 이러한 성 호르몬 작용하여 이 난자가 성숙하지 않게 하며 배란을 억제합니다. 또한 자궁내막을 두껍게 만듦과 동시에 자궁 경부 점액을 끈끈하게 만들어 자궁에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게 만듭니다.
수정이나 착상되지 않은 난자가 자궁내막에서 탈락하게 되면 월경을 하게 되는데요 경구 피임약을 복용함으로써 난자가 배란되는 것을 막고 자궁 내막에 착상 및 탈락하는 것도 억제시켜 월경을 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피임약의 주 원리입니다.
2. 사후 피임약
사후 피임약은 성관계 중 콘돔이 찢어졌다던가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은 상황 등 피임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치 않는 임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응급 처치로 복용하는 약입니다.
경구 피임약에 대비해 10배가량 고농도의 레보노게스트렐이라는 항체 호르몬을 사용하여 피임을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고농도의 피임약이 인공적으로 자궁내막을 떨어져 나오도록 만들어 수정란이 착상하지 못하도록 만듭니다.
사후피임약은 고농도의 호르몬을 투여하는 것이므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성의 몸을 해칠 수 있으므로 사후피임약을 구입해야 하는 경우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합니다.
피임약의 복용법은?
1. 경구 피임약
(1) 피임의 목적
피임을 목적으로 한다면 28일 기준으로 복용합니다. 월경 첫날부터 복용을 시작하고 21일 동안 매일 일정한 시간에 21일 동안 한 알씩 복용합니다. 그리고 7일을 휴약 합니다. 휴약기간 2~3일 정도에 생리를 시작하게 되며 휴약기간 다음부터는 생리 시작과 끝의 여부와 상관없이 같은 주기로 21일 복용, 7일 휴약을 시작해야 합니다.
피임약 복용 최초 7일간은 피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고 생리량이 적거나 월경 일정이 불규칙하여 시작일이 불분명하거나 월경 첫날부터 피임약을 복용하지 못하고 중간부터 복용하였드면 1주일 정도는 콘돔을 사용하여 다른 피임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월경 주기 조절 및 월경 미루기 목적
중요한 일정이 있거나 휴가를 앞둘 경우 월경 주기를 늦추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럴 경우엔 월경 예정일 7~14일 전부터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한 알씩 복용하고 미루려고 하는 날짜까지 복용합니다. 월경 주기를 조절과 동시에 피임의 효과를 보려면 복용 시작 후 20일 동안은 보조적인 피임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임약 복용 첫날부터 월경일 사이에는 난자가 배란되어 있을 가능성이 커서 피임의 효과가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밖에 치료를 목적으로 피임약 복용을 원한다면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약을 처방받고 적절한 피임약 보용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2. 사후 피임약
사후피임약의 효과를 보기 위해선 복용 타이밍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 12시간 간격으로 2회 복용해야 합니다. 사후 피임약의 부작용에 의해 구토를 하게 된다면 약물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수도 있으므로 빠르게 1회 더 복용해야 합니다.
관계 후 최대한 빠르게 복용할수록 피임률이 올라가며 늦으면 늦을수록 피임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24시간 이내 복용 시 95% 피임 성공률
-> 48시간 이내 복용 시 85% 피임 성공률
-> 72시간 이내 복용 시 58% 피임 성공률
72시간을 벗어났다면 자궁내막을 약으로 떨어뜨릴 수 없으므로 반드시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피임약 부작용은?
1. 경구 피임약 부작용들
(1) 경구 피임약은 여드름이 개선되기도 하지만 체질에 따라 여드름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2) 메스꺼움, 구역질, 어지러움, 체중 증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털이 갑자기 많이 자라는 다모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유방통이 생길 수 있으며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5) 뇌혈관 질환, 혈전성 심장 부정맥 등 혈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 사후 피임약 부작용들
(1) 두통과 복부 통증 구토, 구역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불규칙한 생리 주기, 생리혈 과다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질 출혈,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유방압통 골반통,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착상 방지를 원리로 적용하면서 자칫 자궁 외 임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고농도의 호르몬 제제기 때문에 부작용의 정도가 크며 사후 피임약 복용 후 며칠간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피임약의 무분별한 오남용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의사와의 상담을 받고 피임약의 정확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최근댓글